개경지리정보(GIS)는 고려 수도 개경과 대몽항쟁기에 천도한 강화도 주변 지역의 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삼일운동 GIS 베이스 맵에 구현하였다. 대상 시기는 고려~조선초기(919~1394) 시기이며 일부 시설은 조선후기까지 포함하였다. 표제어 항복은 다음과 같이 대분류, 중분류 항목으로 나뉜다.
개경지리정보의 공간정보 지오데이터 타입(geodata type)은 모두 점(포인트, point)이다.
배경 지도는 조선지형도의 개성 도엽(1:10,000, 1916, 국립중앙박물관)과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 GIS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개성 일대의 도엽(1:50,000)이다. 해당 지도를 기준으로 좌표 값을 설정하였고 국토지리정보원의 현재 수치지도 1:25,000 지형도 등을 참고하여 보완하였다.
- 조선지형도(1:10,000, 1916년 측도, 1919년 제1회 수정 측도, 국립중앙박물관)
-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 GIS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개성 일대의 도엽(1:50,000) 목록
지도구분
도엽명
축척
측도년도
제판년도
발행년도
소장처
조선지형도
開城
1/50,000
1916
1918
1918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
조선지형도
金川
1/50,000
1916
1918
1919
국토지리정보원
조선지형도
兩合
1/50,000
1916
1918
1918
종로도서관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지형도
白川
1/50,000
1916
1917
1919
종로도서관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지형도
江華
1/50,000
1916
1917
1919
종로도서관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조선지형도
通津
1/50,000
1916
1917
1919
종로도서관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삼일운동 GIS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지형도는 1919년에 가장 가까운 시기의 1:50,000 축척으로 제작된 '조선지형도'를 기본으로 사용함. 이외의 도엽 목록은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 개방 데이터셋의 삼일운동 GIS 사용 도엽 목록을 참조 바람.
그리고 참고로 활용된 주요 지도는 아래와 같다.
- 국토정보플랫폼 개성시 일대(1:25,000, 국토지리정보원)
- 조선지형도 개성 일대(1:50,000, 1916, 국립중앙박물관)
- 개성 특수지형도(1:25,000, 1918, 국립중앙박물관)
- 송도면 고적지도(1:10,000, 1926, 국립중앙박물관)
- 개경 능묘 분포도(1:50,000, 국립중앙박물관)
- 조선시대 읍지 삽도(『송경광고』, 『중경지』 등)
- 조선시대 개성 고지도
개경 성곽의 윤곽은 선(라인, line)으로 구현하였다. 궁성 윤곽은 우성훈·이상해(「고려정궁 내부 배치의 복원연구」 『건축역사연구』47, 2006)에서 제시된 성과를 이용하였다. 황성ㆍ나성 윤곽은 북한학자 전룡철(「고려의 수도 개성성에 대한 연구(1ㆍ2)」 『력사과학』 2ㆍ3, 1980) 및 북한과 프랑스가 공동 발굴 조사한 자료집(『조선-프랑스 개성성공동조사발굴 전시회』, 2014)에서 제시된 성과를 이용하였다.
궁궐 내의 시설 중 위치 좌표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위치 좌표 ‘바구니’라는 항목을 두고 궁성 안에 전(궁)·각·루·문·절로 시설물을 분류하여 임의로 다음과 같이 일괄 좌표를 부여하였다. 궁궐의 ‘바구니’ 좌표는 궁궐 안의 여러 시설물들이 일정한 구역 내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궁성 안 시설물의 밀집도가 낮은 곳에 임의로 설정하였다. 단, 정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경치를 감상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라는 시설물의 특성상 금원(禁苑, 후원)에 좌표를 설정하였다.
3. 위치비정신회도
5단계로 구분하여 신뢰도 값을 부여하였다.
높음 :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는 경우(자연지명, 건축물, 유물ㆍ유적, 치소 등), 현재나 근대 시기 지도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보통 : 일제시기 유적지도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지도에서 지명이 확인되지 않지만 문헌이나 연구 성과 등 다른 자료를 통해서 위치 비정이 가능한 경우
낮음 : 문헌에 기록된 방위와 거리로 대강의 위치를 비정할 수 있는 경우, 조선시대 읍지 삽도나 고지도에서 지명이 확인되는 경우
매우낮음 : 방위만 막연하게 기록되어 있어 위치가 부정확할 경우(이상 포인트 적용)
비정불가 : 위치를 비정할 수 없는 경우(포인트 미적용)
4. 참여인력
베이스 맵 및 시스템 구축 : - 권규택, 권영훈, 윤정환(㈜에스제이엠앤씨) - 권규택, 권영훈, 김대욱(㈜유명소프트, 2024년)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 - 숙명여대 개경연구반 박종진, 신안식, 전경숙, 변성아, 이지선, 김지영, 김현종(2019년 역사 공간 정보 DB 구축 연구용역)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GIS팀 정요근, 엄기석, 김지영, 오유빈(2024년)
기획 : - 연구편찬정보화실 송용덕, 김대호, 이홍구(2019년) - 송용덕, 이재훈(2024년)